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의료계의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정부와 의료계가 2년 만에 다시 마주 앉았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유행으로 미뤄둔 논의를 다시 테이블 위에 올리는데, 이번에는 합의에 다다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공의들의 집단 휴진. <br /> <br />의대생들의 국가고시 거부. <br /> <br />지난 2020년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하자 의료계가 보인 반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극한의 대립 끝에 정부와 의사협회는 논의로 풀자며 협의체를 구성했지만, 코로나가 유행하면서 2021년 2월 7차 회의를 끝으로 논의는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가 안정되면 다시 얘기하자던 당시 약속에 따라 양측이 다시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실내 마스크 의무가 풀리는 날 열릴 첫 회의를 앞두고, 정부와 의사협회 모두 신뢰를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규홍 / 보건복지부 장관 : 의정협의에서 합의한 원칙과 필수의료체 협의를 통해 구축한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국민의 건강증진과 보건의료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…] <br /> <br />[이필수 / 대한의사협회장 : 작년 7월부터 새 정부 들어와서 필수의료 살리기 의료현안 협의체가 만들어져서 작년 12월에 결과물을 만들어냈습니다. 이러면서 더욱더 의정 간의 신뢰가 확고해졌지 않나…] <br /> <br />의·정 모두 필수 의료를 살리자며 한목소리를 내고 있지만, 해법엔 여전히 거리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의과대학 정원을 늘리자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의대 정원이 10년 넘게 동결됐는데 매년 400명씩 10년간 4천 명을 늘리자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의사협회는 낮은 수가 등 열악한 근무 환경 해결이 먼저라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전체 의사가 부족한 게 아니고, 의사들이 필수의료 분야를 기피하기 걸 막아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비대면 진료 문제 역시 '뜨거운 감자'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인수위 시절부터 국정과제로 꼽았던 비대면 진료 제도의 법제화를 오는 6월까지 마친다는 목표지만, 의료계는 오진의 가능성과 상급 병원으로의 쏠림 현상 등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코로나 유행으로 한시적으로 허용되면서 이미 3,500만 건의 비대면 진료가 이뤄진 점 등이 논의에 새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의사협회는 협의체 회의를 매주 열어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YTN 기정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기정훈 (prodi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2822355204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