튀르키예 동남부에서 잇따라 발생한 강진으로 튀르키예와 인접 국가인 시리아에서 3천 명 넘게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시간이 갈수록 사상자 수 늘어나는 가운데 아직 우리 교민의 인명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용성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국제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먼저 피해 상황부터 알려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두 차례 강진으로 지금까지 튀르키예와 시리아 지역을 합쳐 3천 명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까지 피해 상황은 튀르키예에서 천7백 명 사망, 만2천 명 부상이며 시리아에서는 천3백 명 사망, 3천4백 명 부상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외교부는 현재까지 접수되거나 파악된 우리 국민 사상자는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진 피해 지역은 외교부 여행경보 3단계로서 출국이 권고되는 곳이어서 여행객이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첫 지진 뒤 하루 만에 또 다른 지진이 뒤이은 점도 피해가 커진 이유로 꼽히고 있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최초 지진은 새벽 4시 17분쯤 튀르키예 남부 도시 가지안테프에서 33km 떨어진 내륙 지역에서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진 규모는 7.8로, 이는 1939년 이후 튀르키예에서 기록된 가장 강력한 지진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의 발표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/ 튀르키예 대통령 : 오늘 새벽 4시 17분, 우리는 1939년 에르진잔 지진 이후 금세기 최악의 재난을 경험했습니다. 진원지는 카흐라만마라스의 파자르치크였습니다.] <br /> <br />에르도안 대통령은 일주일 동안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이 기간에 모든 국가기관과 해외 공관에 조기 게양을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진앙에서 천km 떨어진 지역에서도 진동이 느껴지는 등 피해 지역도 광범위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오후 1시 24분쯤, 첫 강진이 발생한 곳에서 멀지 않은 지역에 규모 7.5의 지진이 또 발생했고, 여든 차례에 가까운 여진까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구조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. 어떤 상황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타깝게도 사상자 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튀르키예는 10개 피해 지역에 구조대와 보급 비행기를 급파하는 동시에 최고 단계인 4단계 경보를 발령했습니다. <br /> <br />에르도안 대통령은 피해규모를 예상하기 힘들다며, 추운 날씨에다 새벽에 발생한 지진으로 상황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용성 (choys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20705522742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