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르단강 서안 점령지에 불법 정착촌 9곳을 합법화해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았던 이스라엘이 향후 불법 정착촌 합법화 조치를 자제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를 피해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 총리실은 20일 성명을 통해 "이스라엘은 최근 합법화한 9개의 비공인 정착촌 이외에 앞으로 서안에서 불법 정착촌을 합법화하지 않기로 하고 이를 미국에 통보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이끄는 이스라엘의 초강경 우파 정부는 지난 12일 안보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이른바 '전초기지'로 불리는 서안 내 불법 정착촌 9곳을 합법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합법화 조치는 서안 내 유대인 정착촌을 불법으로 규정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발을 촉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틀 후 미국과 영국, 프랑스, 독일, 이탈리아 외교부 장관은 공동성명을 통해 불법 정착촌 인가를 '두 국가 해법' 실현의 장애물로 규정하면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아랍에미리트(UAE) 등은 이스라엘의 정착촌 활동의 전면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문 초안을 마련해,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월례 회의에서 표결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20일로 예정됐던 안보리 표결은 초안을 마련했던 UAE 측의 의사에 따라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정착촌 문제에 관한 안보리 결의 추진을 반대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개입해 결의안 채택 추진을 중단시켰다고 AP통신이 다수의 외교관리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은 향후 6개월간 팔레스타인을 자극할 수 있는 일방적 조치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AP는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안보리는 이날 의장성명 형태로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장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성명은 '이스라엘의 정착촌 합법화와 확대가 두 국가 해법을 위협한다'고 우려와 실망을 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서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폭력을 비난하고, 상황을 악화하는 도발 자제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 등을 점령한 뒤 이곳에 정착촌을 건설해 유대인들을 이주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월 현재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에는 모두 144개의 정착촌과 100여 개의 불법 정착촌이 있으며, 요르단강 서안에는 45만여 명, 동예루살렘에는 약 22만 명의 유대인이 거주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수근 (sgl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22206365316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