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교부, 北 맞춤형 인공위성 감시목록 첫 작성 <br />외교부, 우방국들에 北 인공위성 감시목록 공유 <br />"인공위성 감시목록, 北 정찰위성 제약 효과"<br /><br /> <br />우리 정부가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에 맞서 감시와 제재를 강화하는 조치들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맞춤형 인공위성 분야 감시 목록을 국제사회 최초로 작성하고, 개인 4명과 기관 6곳에 대한 독자제재도 추가 지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외교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정부의 발표 내용 자세히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외교부가 오늘 오전, 북한의 잇따르는 도발에 맞서 추가 독자제재를 단행하고 감시를 강화하는 조치를 잇따라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대북 수출통제의 일환으로 국제사회 최초로 '북한 맞춤형 인공위성 분야 감시대상 품목' 목록을 작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목록은 인공위성 체계 전반을 포괄하는 77개 품목으로 구성됐는데요. <br /> <br />외교부는 각국이 대북 수출통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주요 우방국에도 목록을 공유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품목의 북한 유입을 방지할 필요성에 대한 국내외 주의를 환기함으로써 대북 공조를 강화하고 북한이 핵심 과업으로 언급해온 군사정찰위성 개발을 제약하는 효과를 기대한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외교부는 북한 핵·미사일 개발과 대북제재 회피에 관여한 개인 4명과 기관 6곳을 독자제재 대상으로 추가 지정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제재 대상에는 북한 리영길 노동당 군정비서, 김수길 전 총정치국장, 북한 중앙검찰소, 베이징숙박소, 철산무역 등이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다섯 번째 대북 독자제재로, 이로써 지난해 10월 이후 정부의 독자제재 대상은 개인 35명과 기관 41곳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제재 대상과 외환거래 또는 금융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각각 한국은행 총재 또는 금융위원회의 사전 허가가 필요하며, 허가를 받지 않고 거래할 경우 관련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는 이번 조치가 지난달 발표된 우리 정부의 첫 사이버 분야 제재 조치에 이어 감시·정찰 분야로도 대북 독자제재의 외연을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앞으로도 북한의 핵·미사일 위협에 대한 전방위적인 대응을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외교부에서 YTN 조수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32114125052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