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130조 원에 육박하는 부동산 PF 대출 부실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각종 위기설에 이어 '뱅크런'을 유도하는 악성 루머까지 퍼지면서 시장에 큰 불안을 야기할 수 있어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며 부동산 PF 대출에 대한 부실 우려도 덩달아 커지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방 부동산을 중심으로 경고등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하지 못한 '준공 후 미분양'은 지난 2월 말 기준 8,554채로 전달보다 13.4%나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구에서 700채가량의 미분양이 발생한 영향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29조 9천억 원. <br /> <br />미분양 증가 등 여파에 연체율은 1.19%로 0.82%포인트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[이인철 / 참조은경제연구소장 : 지난해 말 기준 129조 9천억 원, 1년 전에 비해서 17조 3천억 원이나 늘었습니다. 제2금융권이 문제인데 그 가운데서도 증권사가 유독 연체율이 높다는 겁니다.] <br /> <br />우려는 엉뚱한 '악성 루머'로 재생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저축은행에서 1조 원대 부동산 PF 대출 결손이 발생했다며 예금 전액을 모두 인출하라는 문자가 빠른 속도로 유포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은행들은 사실무근이라며 법적 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해당 저축은행들의 유동성 비율은 각각 250.54%와 159.68%로, 규제 비율인 100%를 훨씬 웃도는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[저축은행 관계자 : 지난해 말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은 2.05%로 전체 대출 연체율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타 금융업권에 비해 높은 충당금 적립 기준 적용 등….] <br /> <br />새마을금고도 부동산 PF를 둘러싼 유동성 위기설에 연일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 : 부처 간에 행정안전부를 포함해 긴밀히 소통하고 있고 금융당국이 관리하고 있는 금융회사에 못지않은 수준으로 잘 챙겨보겠습니다.] <br /> <br />시장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긴 하지만 과도한 불안이나 가짜 뉴스는 대규모 인출 사태, '뱅크런' 등 위기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악의적인 유언비어 유포가 금융시장 불안 등 국민 경제에 큰 손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며, 법적 조치를 취하는 등 엄정 대응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영상편집 : 이은경<br />그래픽 : 이지희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1505321349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