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한가 행진은 마무리됐지만, 여파가 작지 않은데요, <br /> <br />금융감독원은 증권사 CEO를 소집해 위험 관리를 당부했고 증권사도 서둘러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강희경 기자! <br /> <br />무더기 폭락 종목들의 지금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프랑스계 증권사 SG증권발 하한가 사태가 발생한 건 지난 24일입니다. <br /> <br />관련 종목은 모두 8개인데요, <br /> <br />이 가운데 서울가스와 대성홀딩스, 선광은 어제까지 4거래일 연속 하한가 행진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세방 한 종목만 올랐을 뿐 나머지 종목도 내림세를 이어갔는데요, <br /> <br />다만 오늘 8개 종목 모두 오후에는 상승세를 그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길게 이어졌던 하한가 행진은 일단 마무리됐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금융당국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무더기 하한가 사태는 차액결제거래, CFD로 레버리지, 즉 차입 투자를 하다가 증거금 부족으로 반대매매가 벌어지며 발생한 현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특정 세력이 개입해 미리 가격을 정해놓고 사고파는 '통정거래' 등으로 주가를 끌어올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금융위원회는 어제 주가조작 세력으로 지목된 업체의 사무실과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감독원은 오늘 함용일 부원장 주재로 증권사 최고경영자들을 모두 소집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감원은 CFD나 신용융자 등 과도한 차입투자가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, <br /> <br />이런 투자의 위험성을 충분히 알고 감내할 수 있는 투자자만 참여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 이 자리에는 황현순 키움증권 사장도 참석해서 눈길을 끌었는데요, <br /> <br />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다우데이타의 보유 주식을 폭락 사태 이틀 전에 처분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황현순 사장은 매각 시점이 공교롭긴 하지만 우연에 불과한 일이라고 일축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CFD와 관련해선 증권사들도 대책을 내놓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제가 커지자 증권사들이 CFD 신규 가입과 매매를 중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증권은 어제 오후부터 CFD 서비스 신규 가입을 일수 중단했고요, <br /> <br />한국투자증권도 다음 달부터 전 종목 신규 매매를 중단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한투자증권과 DB금융투자 역시 문제가 된 8개 종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2814184252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