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-매카시 담판 결렬…美 '채무불이행' 우려 고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정부의 국가 부채가 법정한도를 넘으면서 미국이 디폴트, 즉 채무 불이행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막기 위해선 의회가 부채 상한을 높여줘야 하는데, 백악관과 공화당의 팽팽한 입장차로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여야 상하원 대표와 회동했습니다.<br /><br />연방정부의 부채한도 상한을 높이는 협상을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 "오늘은 어떤 질문도 받지 않을 것입니다. 우리는 이제 논의를 시작할 거예요. 세상의 모든 문제를 풀 것입니다."<br /><br />미국 정부의 부채는 이미 지난 1월 한도를 넘겼지만, 정부 보유 현금을 활용한 특별조치로 위기를 모면해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 조치도 한계에 달해, 의회가 부채한도를 올려주지 않으면 채무 불이행, 디폴트에 직면할 위기에 처했습니다.<br /><br />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이 상태로 가면 6월 1일부터 연방정부가 보유한 현금이 바닥나 부채를 갚지 못하게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원 다수당인 공화당은 부채한도를 올리려면 정부 지출부터 삭감하라고 요청하고 있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조건 없는 한도 상향을 압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하원은 책임 있는 방식으로 부채한도를 높여왔습니다. 동시에 지출을 억제하고 경제 성장을 가져와야 합니다."<br /><br /> "부채한도에 협상이 있을 수 없습니다. 이것은 헌법상 의무이고 의회가 반드시 해야 할 일입니다."<br /><br />6월까지는 시간이 좀 남았지만, 이달 하순 바이든 대통령의 일본, 호주 순방이 예정돼 있어 사실상 협상 시간이 많지는 않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미국 의회가 건국 이래 부채상한 문제를 놓고 90회 이상 갈등을 겪고도 정작 디폴트를 맞은 사례는 없었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막판 타결에 이를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미국부채 #부채한도 #채무불이행 #디폴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