中, 바이든 '미중 해빙' 발언에 "장애물 제거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는 베이징으로 가 보겠습니다.<br /><br />G7 정상들의 집중 견제를 받은 중국과 러시아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곧장 보복성 조치도 내놓았는데요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. 먼저 G7 정상회의 성명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 당국의 반응부터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G7 정상회의 뒤 기자회견을 통해 미중 관계 해빙을 언급한 데 대해 '말과 행동이 다르다'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"미국은 한편으로 소통하자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"고 지적했는데요.<br /><br />"미국은 제재를 철회하고 실제 행동에 필요한 장애물을 제거해야 한다"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앞서 G7 정상들이 내놓은 성명에 대해 "난폭한 내정간섭"이라고 잘라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는 쑨웨이둥 부부장이 주중 일본대사를 불러 외교 경로를 통해 항의했다는 뜻의 '엄정한 교섭'을 제기한 사실을 어젯밤(21일)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쑨 부부장은 G7 순회 의장국인 일본이 정상회의 각종 활동과 공동선언에서 관련 국가와 결탁해 중국을 먹칠하고 공격했다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대만 문제를 비롯해, 홍콩과 신장, 티베트 인권 문제를 '중국의 내정'이라고 전제한 뒤 외부 세력의 간섭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G7이 언급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는 '전반적으로 안정돼 있다'면서 '힘에 의한 현상 변경'은 악의적인 것으로 사실에 위배된다고도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G7 국가들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일본으로 불러 회의장을 '선동 쇼'로 만들고 반러시아·반중국 정서를 부추겼다고 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G7 정상들의 전방위 견제에 맞서 중국과 러시아는 양국의 관계의 건재함을 과시하기 위해 더욱 밀착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내일과 모레 이틀간(23∼24일) 미하일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는 리창 중국 총리의 초청으로 중국을 공식 방문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은 미국 반도체기업 마이크론 제품에 대한 구매를 금지하고 나섰는데요.<br /><br />보복성 조치라는 평가가 나온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인터넷 당국이 어제(21일) 마이크론 제품에 비교적 심각한 보안 문제가 있다면서 중요한 정보시설 운영자는 마이크론의 제품 구매를 중지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이 지난 3월 말 마이크론의 중국 내 판매 제품에 대해 심사를 실시한다고 밝힌 지 50여일 만에 내려진 조치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이 외국 반도체 회사에 대해 사이버 안보 심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이 글로벌 첨단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시도에 대한 맞불 조치로 풀이되는데, 마침 G7 정상회의 폐막식에 맞춰 이뤄줬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더해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대중국 디커플링, 이른바 공급망 배제가 미국 기업들에게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일종의 '경고'를 보낸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미중 대립 사이에서 한국 반도체 기업이 곤혹스런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미국 정부는 중국이 마이크론 반도체 판매를 금지할 경우 중국 시장에서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와 같은 한국 기업이 부족분을 채우지 말 것을 한국 측에 요청했다고 지난달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미국 측이 마이크론의 중국 시장 공급 감소분을 한국 반도체 기업이 채워주지 말라고 요구할 가능성에 대해 "결연히 반대한다"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"이 같은 미국 측의 행위는 전적으로 자신의 패권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 대중국 수출을 제한하도록 협박하는 것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한국 정부와 반도체 업체들이 미국의 요구에 응하지 않기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의 이번 조치를 두고 미국의 대중국 견제에 참여 중인 한국·일본 등에 대한 경고 신호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#중국 #G7 #마이크론 #보복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