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회복 조짐에…가계대출 두 달 연속 증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기 침체 우려 속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는 건 다행스러운 일이죠.<br /><br />하지만 가계대출도 덩달아 늘고 있다는 점은 부담인데요.<br /><br />2년 가까이 긴축 정책을 이어온 통화당국으로서는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부동산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면서 가계 대출이 다시 꿈틀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5월 말 기준 전 금융권 가계 대출은 한 달 전보다 2조8,000억원 늘면서 두 달 연속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은행권만 보면 4조2,000억원 늘었는데 2021년 10월 이후 가장 큰 폭입니다.<br /><br />전세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4조3,000억원으로 역시 1년7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부터 아파트 거래량이 점차 회복되면서 늘어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반영된 건데, 2년 가까이 긴축 정책을 펴온 통화당국 입장에서는 고민스러운 대목입니다.<br /><br /> "당장은 아니더라도 가계부채를 어떻게 중장기적으로 디레버리징(부채 축소)할지, 통화정책에 어떻게 기여할지는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…"<br /><br />경기 침체 속에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는 건 다행이지만 문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가계 부채.<br /><br />올해 1분기 기준 세계 34개 나라의 국내총생산,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102.2%로 가장 높았습니다.<br /><br />유일하게 GDP 규모를 웃돌았는데, 한은은 금융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를 중장기적으로 80%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음 달 중에는 전세금 반환 목적에 한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, DSR 규제 일부 완화까지 예고된 상황.<br /><br />고강도 긴축 정책으로 물가 상승 압력을 겨우 낮춘 통화 당국으로서는 늘고 있는 가계 빚이 또 다른 숙제가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가계부채 #빚 #주택담보대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