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전같은 초고층건물 '화재 대피 훈련'…"계단으로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울 도심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화재에 대비한 실전 같은 훈련이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일단 불이 나면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을 이용해 신속히 대피해야 하는데, 초고층 건물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김장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강남의 지상 55층 지하 6층의 주상복합 아파트.<br /><br />입주민 300여 명과 굴절사다리차 등을 동원한 구조 훈련이 펼쳐졌습니다.<br /><br />주차장 내 사고로 전기차에서 불이 시작된 상황을 가정해 초기 진화와 주민대피가 함께 이뤄집니다.<br /><br />전기차 화재 진화용 특수 소화포가 동원된 가운데 불길 확산 차단을 위한 방어선도 구축합니다.<br /><br />동시에 입주민들이 코와 입을 물에 적신 헝겊으로 막고 낮은 자세로 비상등을 따라 대피합니다.<br /><br />만약 실제로 이런 상황을 마주했을 경우 평소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탑승은 자제해야 합니다.<br /><br />만약 초고층 건물에서 불이 나면 건물 계단을 이용해 신속히 대피하는 게 중요합니다.<br /><br /> "화재가 난 건물 같은 경우에는 전기 설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승강기가 멈추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계단으로 안전하게 낮은 자세로 대피를 해주시면…."<br /><br />만약 불이 난 곳보다 높은 상층부에 있는 경우에는 무리하게 불이 난 곳을 지나 아래로 내려가기보단 건물 중간에 마련된 대피 공간이나 옥상에서 안전하게 구조를 기다리는 게 낫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서울에서 50층 이상 초고층 건물은 20여개 동으로 전국적으로는 100여개 동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초고층 건물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고려해 굴절사다리차 보급과 함께 건물 설계에서부터 내부 경보장치, 중간 대피 공간, 스프링클러 확충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 (jhkim22@yna.co.kr)<br /><br />#초고층건물 #화재 #대피 #계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