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처님의 금빛 가르침…'묘법연화경 권제6' 일본서 환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고려시대에는 국가의 발전이나 부모의 극락왕생을 빌기 위해 불교 경전을 옮겨적은 '사경'을 제작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14세기 말 고려 사경의 특징이 잘 남아 있는 문화유산, '묘법연화경 권제6'이 일본에서 돌아왔습니다.<br /><br />오주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석가모니 부처를 중심으로, 그의 10대 제자가 보입니다.<br /><br />공덕을 쌓기 위한 수행 방법을 그림으로 묘사해, "부처가 되는 길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"는 가르침을 담은 '묘법연화경 권제6' 변상도입니다.<br /><br />감색 종이에 금과 은 가루를 이용해 새겨진 것으로, 펼친 가로 길이만 10m가 넘습니다.<br /><br />불교 경전을 직접 옮겨 적은 고려시대 '사경(寫經)'으로, 만들어진지 700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합니다.<br /><br />일본의 한 개인 소장가가 가지고 있었는데, 지난해 6월 소장자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올해 3월 문화재청이 재단을 통해 환수하는 데 성공했고, 국내에 들여올 수 있게 됐습니다.<br /><br /> "뛰어난 필력, 구성력 이런 것들로 봐서는 당대 최고의 사경승에 의해서 그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고려시대에 사경 제작이 성행했고, 국가 기관인 사경원(寫經院)을 통해 국가의 안녕을 빌거나, 부모의 극락왕생을 바라는 목적으로 제작됐습니다.<br /><br /> "이번 묘법연화경 권제6에서 금·은빛으로 아름답게 표현된 고려인의 간절한 소망을 곳곳에서 충만히 느끼실 수 있습니다. 앞으로 전시, 연구 등에 활용될 가치가 뛰어난 만큼 환수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이번 환수를 계기로 고려 불교문화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확장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오주현입니다. (viva5@yna.co.kr)<br /><br />#문화재청 #묘법연화경_권제6 #환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