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통 3사→알뜰폰 지난달만 11만 명…배경은 보조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른바 '0원 요금제'가 출시되면서 알뜰폰 이용자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'0원 요금제'가 가능한 건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보조금을 주고 있기 때문인데, 알뜰폰이 독자 생존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알뜰폰으로 번호를 이동한 이용자는 29만여명.<br /><br />전체 번호 이동의 50%가 넘은 건데, SK텔레콤에서 5만명 가까이 빠져나갔고, KT와 LG유플러스에서도 각각 3만명씩 도합 11만 명 넘게 떠났습니다.<br /><br />갑작스런 알뜰폰의 인기는 낮아진 이용요금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최대 1년까지 공짜로 쓰는 0원 요금제에, 월 1만원 아래로 쓸 수 있는 5G 요금제도 등장한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속을 들여야 보면 이동통신사들의 보조금 덕분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통 3사들이 가입자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자사 망 사용자 수 유지를 위해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보조금을 챙겨주는 겁니다.<br /><br />알뜰폰 업체들도 마진을 줄이는 대신 보조금을 통해 가입자를 늘리는 수단으로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 보조금이 줄면 알뜰폰 사업도 위축될 수밖에 없는데, 당장 보조금 카드를 먼저 꺼냈던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20만원까지 주던 지원금을 10만원으로 줄였습니다.<br /><br />가입자 변화에 관심이 쏠리는 대목으로, 알뜰폰 사업자의 독자적인 생존을 위해선 전산망 별도 구축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 "이통사가 알뜰폰을 경쟁사업자로 보는게 아니고 판매망으로 보는 거예요. 알뜰폰이 요금을 내리려면은 관리하는 전산시스템과 교환기가 있어야 하는데, 그게 없으니까 안되는 거예요."<br /><br />통신비 인하를 위해 조만간 제 4이동통신사업자 공모에 들어갈 예정인 정부는 알뜰폰 업계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에도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알뜰폰_번호이동 #이통사_보조금 #0원요금제 #자생력확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