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최초 외과 병원, 서울 중구 유일한 대학병원인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이 결국 폐원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학교법인 인제학원이 이사회를 열어 폐원안을 만장일치 의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화면 함께 보시죠. <br /> <br />이사회를 앞둔 서울백병원 본관 앞. <br /> <br />정문부터 로비, 13층 회의실 앞까지 의료진과 교직원들이 가득 메웠습니다. 폐원 결정을 철회하라는 요구를 하기 위해선데요. 그러나 폐원안 의결을 막지는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제학원 이사회는 결국 만장일치로 '폐원안'을 의결했습니다. 지난 2004년부터 20년간 누적돼 온 1,745억 원에 달하는 적자를 이기지 못한 건데요. <br /> <br />"도심 거주 인구가 줄면서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"는 배경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상계와 일산 등 남은 병원 경영에 힘쓰고 전 직원 고용유지와 환자들 전원도 책임지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노조는 즉각 반발했고, 교수들도 폐원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영규 / 서울백병원 교수협의회장 : 저희 병원이 만약에 폐원하게 되면 중구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필수의료기능을 수행할 중구의 유일한 대학병원이 사라지는 것이죠.] <br /> <br />서울시와 중구청도 끝까지 만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역 대형병원의 든든함은 이루 말할 수 없겠죠. <br /> <br />도심 지역 주민의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서울시, 백병원 자리를 학교나 도로 같은 '도시계획시설'로 지정해 의료시설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문을 닫아도 상업 시설로 전환할 수 없고 의료사업자를 상대로만 매각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오세훈 / 서울시장 : 서울백병원처럼 시민의 생명을 책임지는 사회적 책무가 따르는 의료기관은 지역사회에 대한 소명을 가지고 그 역할을 지속해 나아가야 한다…서울시도 다각도로 고민할 것] <br /> <br />백병원이 있던 자리는 명동 변화가 앞. <br /> <br />말 그대로 금싸라기 땅이죠. <br /> <br />일단 상업적 활용은 막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대형 병원이 유지되거나 다시 들어올 지는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최근 10여 년 동안 이대 동대문 병원과 중앙대 용산병원 제일병원까지 도심 대형 병원까지 줄줄이 문을 닫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병상이 없어 '응급실 뺑뺑이'가 사회 문제로 부각되는데 정작, 대형병원은 경영난에 문을 닫는 상황. <br /> <br />필수의료 부족 사태와 함께 보건의료계가 처한 슬픈 현실을 보여주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2108334633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