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지난 8일부터 159km 릴레이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외면 속에 구속기소됐던 현장 책임자들은 대부분 보석으로 풀려나고, 윗선 수사는 제자리 상태인데요. <br /> <br />오늘(28일) 행진엔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도 합류해 힘을 보탰습니다. <br /> <br />유서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보라색 조끼를 입은 유가족들이 오늘도 시간에 맞춰 서울 도심 아스팔트 도로 위를 걷습니다. <br /> <br />희생자 숫자를 의미하는 총 159km 릴레이 행진 시위, <br /> <br />서울광장부터 여의도 국회까지 9km 남짓한 거리를 지난 8일부터 15일째 행진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'이태원 참사 특별법'을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해 하루빨리 통과시켜달라고 촉구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[송진영 / 유가족협의회 대표직무대행 : 자식이 왜 서울 한복판에서 길을 걷다 사망했는지 그 이유를 묻고 진실을 찾는 것은 부모로서의 당연한 의무이자 권리인 겁니다.] <br /> <br />보라색 행진 대열 사이로 낯익은 노란색 깃발도 함께 나부낍니다. <br /> <br />세월호 참사 유가족 30여 명도 비슷한 참사가 반복되는 것을 막겠다며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촉구 행진에 처음으로 동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종기 /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(고 김수진 아버지) : 159명의 젊은 생명 희생시켰음에도 오히려 책임 회피하고 여론 호도해서 피해자 2차 가해 일삼는, 유가족 모욕하고 탄압하는 등 10년 전 세월호 참사 때와 조금도 바뀐 게 없습니다.] <br /> <br />감사원은 지난 1월 감사위원회의에서 이태원 참사에 대한 감사를 벌이기로 했지만 반년 가까이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는 특별법 주요 내용에 반대하는 의견서를 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는 사이 부실 대응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박희영 용산구청장과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 등 6명 가운데 4명이 보석으로 풀려났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 책임 윗선에 대한 검찰 수사도 여전히 제자리걸음입니다. <br /> <br />한여름 뜨거운 도로 위보다, 자식이 떠나야 했던 이유를 사회에 되묻는 길은 남은 가족들에겐 여전히 가혹합니다. <br /> <br />[강선이 / 고 이상은 씨 어머니: 너무 화가 나서 잠을 이룰 수가 없었고요. 대한민국 사법부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리는 결과였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르면 다음 달로 예상되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파면을 촉구했지만, 결과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유서현 (ryu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2819580954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