꼬리무는 여성대상 무차별 범죄…"여전히 약한 처벌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른바 부산 돌려차기 사건 이후에도 아파트 엘리베이터 등 공용 공간에서 여성을 상대로 한 무차별 폭력 범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성들의 불안이 가시지 않고 있는 데요, 피해 여성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처벌을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김예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5일 경기도 의왕에서 20대 남성이 아파트 엘리베이터 안에서 일면식 없는 이웃 여성에게 성범죄를 저지르려 무차별 폭행했습니다.<br /><br />비슷한 일은 앞서 서울 노원구의 한 아파트에서도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한 남성이 엘리베이터를 탄 모르는 여성을 쫓아간 뒤 복도로 끌고 가 폭행, 협박하고 도주한 겁니다.<br /><br />'부산 돌려차기 사건'과 같이 자신과 아무 관계 없는 여성을 노린 범죄가 끊이지 않으며 여성들은 불안합니다.<br /><br /> "불안하긴 하죠. 밤길 가는 거 무섭죠."<br /><br /> "불안하지. 불안하긴 한데, 젊은 아가씨들이 (걱정이) 더 많겠지."<br /><br />강력 범죄자의 신상공개를 확대하고 재판 과정에서 피해자의 의견 진술을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성 대상 범죄의 경우 사회적 파장이 큰 사건을 제외하고 처벌 수위가 여전히 낮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실제로 강간 사건이 일어나서 합의가 안 돼도 일단 피해자가 심하게 다치거나 이런 상황이 아니면 처벌을 지나치게 약하게 하고 있는 경향이 있지 않나."<br /><br />신체적, 물리적으로 취약한 여성을 상대로 범행할 경우 엄벌 받는다는 인식이 부족해지고, 강력범죄로 이어지기 쉽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상대적으로 범죄에 노출되기 쉬운 약자를 노리는 범죄자의 범행 동기를 적극적으로 규명해 수사 과정과 양형 기준에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범죄에 취약한 여성 1인가구는 증가하지만 안전한 공간은 부족한 현실.<br /><br />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의 처벌 강화와 함께 성평등 교육을 통한 예방책도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예린입니다. (yey@yna.co.kr)<br /><br />#폭행 #성범죄 #엘리베이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