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응급실 뺑뺑이' 사고가 반복되면서 경증 환자가 응급실에 너무 많이 몰리는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료를 올리거나 119를 유료화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나오는데, 국민의 인식 개선과 협조도 필수라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감기, 장염, 설사, 열상 등 중증도가 낮은 비응급 환자들로 병원 응급실이 북새통을 이루는 현실은 통계에서도 확인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응급의료기관을 찾은 환자는 769만여 명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응급이자 중증 환자군인 1~3등급은 43%에 그쳤고, 감기 등 경증 환자군으로 분류되는 4~5등급은 53%로 절반을 훌쩍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성중 / 중앙응급의료센터장 : 내 자식, 내 식구만큼은 큰 병원에서 진료를 봐야 된다는 의식이 좀 굉장히 강한 것 같습니다. 또 하나는 실손의료보험이라든가 이런 것이 참 잘 돼 있는 나라이다 보니까 실제로 응급실의 문턱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굉장히 낮은 게 사실입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권역 내 최상위 전문 응급의료기관인 권역 응급의료센터 진료비의 본인 부담률을 높이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민수 / 보건복지부 제2차관(SBS 라디오 출연) : 권역센터라고 큰 종합병원 있지 않습니까? 여기에 경증으로 가는 경우에는 본인 부담을 강화했으면 좋겠다, 이런 건의가 있어서 이것들은 지금 현재 검토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현장 응급실 의사들 사이에서는 또 경증환자의 119 이용을 유료화해서 응급실 이송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이형민 /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: 근본적인 원인은 이것이 무료이기 때문에… 개인적인 이유로 아니면 경증임에도 불구하고 119를 이용했을 때는 외국의 예를 들어서 그런 어떤 일정한 비율의 그런 비용을 매기게 된다면….] <br /> <br />다만 이 경우 경제적, 사회적 취약계층이 비용 부담에 구급차를 못 부르거나 오히려 돈을 내고 당당하게 구급차를 악용할 우려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비응급 환자가 야간이나 주말에도 갈 수 있는 응급실 이외의 선택지를 늘리고, <br /> <br />어느 정도로 아팠을 때 어떤 병원을 갈 수 있는지를 충분히 알려야 한다는 조언입니다. <br /> <br />[이형민 /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: 하루에 100명, 200명 이런 환자들을 그런 병원에서 잡아주게 된다면 과밀화 해결의 열쇠가 될 수 있다, 바로 이게 이제 어전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윤정 (yjshin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72305432648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