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발 가짜뉴스에 눈 뜨고 코 베이는데…규제는 미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술 발달로 가짜뉴스가 더 정교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생성형 인공지능,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AI발 가짜뉴스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문제는 이를 막거나 책임을 물을 제도가 없다시피하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일본 기자가 프랑스 축구클럽 생제르맹 소속 축구 스타 킬리안 음바페에게 '이강인이 같은 팀으로 온다고 하는데, 단순한 마케팅용이라고 생각하냐'고 도발적으로 묻습니다.<br /><br />음바페는 '이강인이 재능을 가졌기에 올 수 있는 것'이라고 답했고, '통쾌하다'며 음바페를 응원하는 댓글이 수없이 달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사실 조작된 영상이었습니다.<br /><br />2021년 열렸던 '유로 2020' 기자회견 영상에 AI 음성으로 대신한 음바페의 답변을 담아 짜깁기하고, 텍스트 음성변환 기술로 일본 기자의 음성을 덧댄 겁니다.<br /><br />조회수만 1,100만회. 국민 1/5을 속이고 자취를 감췄지만, 이를 제한하거나 처벌할 법적 근거는 없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은 정정보도 청구권이랑 명예훼손, 민사·형사 이 정도 세 개가 다예요. 다 옛날에 대한 대비예요. 새로 나온 거에 대한 대비가 안 돼요."<br /><br />현재, 구글, 애플, 네이버 등 빅테크 기업들이 AI 시장 차지를 위해 각축전을 벌이는 상황.<br /><br />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더 쉽게 더 많은 가짜뉴스가 만들어질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현대전에선 적국의 시민들을 공포에 빠뜨리는 가짜뉴스를 퍼뜨려 후방에서 소요 사태를 일으킬 수 있고, 선거를 앞두곤 특정 후보나 유력 인사의 허위 발언 영상을 배포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가짜뉴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수십조원에 이른다는 추산도 나오는 상황, 지금이라도 제도 보완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AI #구글 #MS #애플 #챗GPT #가짜뉴스 #전쟁 #선거 #총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