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무량판 구조는 '무죄'…문제는 설계·시공·감리 부실

2023-08-01 0 Dailymotion

무량판 구조는 '무죄'…문제는 설계·시공·감리 부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무량판 구조는 과거 많은 인명피해를 낸 붕괴 사고에도 적용된 바 있지만, 구조 자체는 문제가 없다는 게 건축 전문가들 설명입니다.<br /><br />결국 건설 현장의 단계마다 지켜야 할 원칙이 무너진 게 이번 사태의 원인이란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박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95년, 502명의 목숨을 앗아간 삼풍 백화점 붕괴 사고, 2007년 나산백화점 붕괴, 지난해 광주 화정 아이파크와 지난 4월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까지…<br /><br />무너진 건물은 공통적으로 무량판 구조로 지어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그렇다고 무량판 구조 자체에 문제는 없다는 게 건축학계의 중론입니다.<br /><br />보 없이 기둥만으로 천장을 받치려니 벽식이나 기둥식 구조보다 보강철근을 촘촘히 넣는 정밀한 시공이 이뤄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게 문제였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 드러난 철근 누락 LH아파트 15건을 보면 7건은 보강철근 구조 계산을 안 했거나 엉터리로 했고, 8건은 도면을 잘못 그렸거나 제대로 읽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설계부터 시공, 감리까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게 원인인데, LH도 현장의 구조적 문제임을 인정합니다.<br /><br /> "(건설 인력이) 충분한 전문성을 확보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저는 어느 한곳의 문제가 아니라 건설 전체 시스템 구조상의 문제가 있다."<br /><br />철근, 콘크리트 등 자잿값 급등에 인건비 등 각종 원가를 아끼려는 건설사들의 행태도 부실 시공의 근본 원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설계도 그렇고 감리도 그렇고 시공도 그렇고 최저가로 수주하다보니까 수주 금액에 맞추다 보면 능력있는 사람은 못 쓰는 거죠, 현장에서."<br /><br />꼼꼼한 기술력과 경험 있는 업체와 인력을 선정하지 못하고, 원가 절감만을 위해 하도급에 재하도급을 주며 비용 깎는 데만 골몰하다, 안전은 뒷전으로 밀렸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. (bako@yna.co.kr)<br /><br />#무량판구조 #LH #국토교통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