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사태로 2020년부터 국경을 봉쇄해온 북한이 최근 들어 외부에 문을 여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아직 국경 개방 시기를 특정하기는 이르다는 분석도 나오는 가운데 당장 다음 달 항저우 아시안게임 참가 여부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3년 넘게 국경을 봉쇄 중인 북한이 최근 국제축구연맹, FIFA에 월드컵 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2026 월드컵 본선을 위한 아시아 2차 예선에 참여하겠다는 건데, 2019년 11월 이후 4년 만에 월드컵 무대에 복귀하게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출전할 경우 첫 경기가 11월 16일 시리아와의 홈 경기여서, 외국팀을 받아들일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[김용현 /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: 시리아와 북한의 관계가 워낙 좋은 관계이기 때문에 북한이 문을 열 가능성이 있다, 평양으로 시리아 측을 초청할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북한은 지난달 27일 열병식에는 코로나 사태 후 첫 외빈으로 중국과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하며 대외 교류에 시동을 걸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최근 북한 여행사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올가을 평양에서 열리는 골프대회 참가 모집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외부에 문을 여는 움직임을 잇따라 보이고 있는데, 일각에서는 국경 개방 신호로 해석하기는 이르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곤 /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: 아직까지 단둥을 비롯해 중국과의 접경지역에서 정상적인, 코로나 이전과 같은 경제활동을 하지는 못하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활동을 완전히 풀어야 국경을 완전히 다시 개방했다고 볼 수 있겠죠.] <br /> <br />우선 다음 달 말 북한의 항저우 아시안게임 참가 여부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2백 명 규모의 선수단을 파견할 것으로 보이는데,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방문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어 정부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다만 북측 태도나 최근의 남북관계를 비춰볼 때, 이를 계기로 의미 있는 남북 교류가 이뤄지기는 어렵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윤용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81205333453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