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는 18일 한미일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서 북한이 지난달 월북한 주한미군 병사 트래비스 킹 이병을 처음으로 언급하면서 킹 이병이 망명 의사를 밝혔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미국 국방부는 검증할 수 없다며 킹의 귀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최두희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통일외교안보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 매체 보도를 보면, 킹 이병 사건을 미국 인권 문제를 비난하는 데 활용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그렇습니다. 우선 북한의 대외용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킹 이병이 북한 영내에 불법 침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18일 오후 3시 반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돌아보던 킹이 고의로 북측 구역으로 침입했다가 군인들에 의해 단속됐다며 월북 경위를 언급했는데요. <br /> <br />앞서 알려진 월북 경위와 동일한 내용으로 북한이 킹에 대해 언급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통신은 또 킹이 미군 내에서의 비인간적인 학대와 인종차별에 대한 반감을 품고 북한으로 넘어올 결심을 했다고도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킹이 불평등한 미국 사회에 환멸을 느꼈다며 북한이나 제3국에 망명할 의사를 밝혔다고도 덧붙였는데요. <br /> <br />내일(17일) 6년 만에 '북한 인권' 문제를 논의하는 유엔 안보리 공개회의, 모레(18일) 한미일 3국의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서 나온 발표인 만큼 발표 시점도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북한이 킹의 자발적 망명 배경으로 인종차별을 거론한 만큼 북한이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 문제 제기에 대응해 미국의 반인권적 행태를 부각하겠다는 의도로도 해석되는데요. <br /> <br />통신은 끝으로 킹에 대한 조사도 계속될 것이라고 해 킹이 이른 시일 내에 북한에서 풀려나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에 대해 미국 국방부는 북한 발표를 검증할 수 없다며 반박했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앞서 전해드린 북한 발표와 관련해 검증할 수 없는 만큼 킹의 귀환에 집중하고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로이터통신은 미 국방부 대변인이 킹의 안전한 귀환에 집중하고 있고 국방부의 우선순위는 킹을 집으로 데려오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 대변인은 또 이를 위해 모든 가용한 소통 창구를 이용해 움직이고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한국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81611485559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