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의 대북 대화 창구 역할을 해온 북한 전문가 빌 리처드슨 전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향년 75세로 별세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영리단체 리처드슨센터는 성명을 통해 리처드슨 전 대사가 1일 매사추세츠주 채텀의 자택에서 숨졌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뉴멕시코 주지사와 연방하원의원을 지낸 리처드슨 전 대사는 재임 기간은 물론 퇴임 후에도 북한, 쿠바, 이라크 등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을 위해 활동한 것으로 유명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과 미군 유해 송환을 위해 여러 차례 방북했습니다. <br /> <br />1994년 12월 주한미군 헬기가 휴전선 인근에서 비행하다 북한에 격추됐을 때 당시 하원의원으로 마침 평양을 방문하고 있었던 그는 조종사 송환 협상을 맡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과 교섭 끝에 하일먼 준위의 유해를 돌려받고, 생존 조종사 홀 준위를 사건 발생 13일 만에 판문점을 통해 귀환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1996년에는 빌 클린턴 미 대통령의 특사로 북한을 방문해 강석주 외교부 제1부부장을 만나 밀입국 혐의로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 에번 헌지커의 석방을 이끌어 냈습니다. <br /> <br />2009년 탈북자 문제를 취재하다 국경을 넘어 북한에 붙잡힌 중국계 미국인 로라 링 기자 석방에도 기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 북한이 대학생 오토 웜비어를 억류했을 때도 뉴욕에서 북한 외교관들을 만나 웜비어의 석방을 요청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대사와 에너지부 장관을 지내며 북한 측 인사들과 자주 접촉하며 관계를 맺어온 리처드슨은 공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비공식 대북 대화 창구 역할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(NPT)에서 탈퇴한다고 선언한 2003년 1월 뉴멕시코 주지사였던 자신을 찾아온 한성렬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를 만나 핵 문제를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7년 4월 북한을 방문해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6구 송환 약속을 받아냈으며, 민간인이었던 2013년 1월에는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과 북한을 찾아 핵실험 유예와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 석방을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을 상대로 비공식 외교를 활발하게 한 공로로 2019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되는 등 해외 억류 미국인 석방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노벨평화상 후보로 5번이나 추천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뉴멕시코 주지사였던 2008년 민주당 대선 경선에 도전했다가 중도 사퇴하고 버락 오바마를 지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 생활을 마친 뒤에는 자신이 설립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90306504176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