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관광객 200만 명 목표…입국·쇼핑 편의성 높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6년반 만에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허용된 뒤 최근 길거리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관광업계의 '큰 손'들을 더 붙잡기 위해 여러 대책을 내놓았는데요.<br /><br />마나 효과가 있을지 이재동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해 800만 명 넘게 우리나라를 찾았던 중국인 관광객은 2017년 사드 배치로 단체 여행이 금지되며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코로나 사태까지 겹쳐 한때 17만 명까지 줄었지만, 올해 다시 급증해 7월에는 방한 관광객 1위 자리를 되찾았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관광객 1인당 지출 규모는 215만원으로 일본, 미국보다 월등히 앞서 관광객 증가는 경상수지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이들을 불러오기 위해 팔을 걷은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입국편을 늘리고 연말까지 1인당 1만8,000원인 중국 단체관광객 전자비자 발급 수수료도 면제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간편 결제 가맹점을 확대하고, 다음달부터 물품 구매 즉시 부가가치세를 환급해주는 시스템도 확대합니다.<br /><br />무분별한 저가 관광이나 바가지요금은 적극 차단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 "고부가가치 관광상품을 육성하고 홍보하겠습니다.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K-컬처를 K-관광의 고유한 매력으로 차별화하겠습니다."<br /><br />다만 중국 내 한류 열풍이 한풀 꺾인데다 최근 중국 경제에 위기감이 증폭돼, 예전만큼의 구매력을 보일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 "중국은 GDP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25%가 넘는데요. (부동산 업체들이) 어려워졌기 때문에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오더라도 예전만큼 소비 여력이 크지는 않다…."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구매력 높은 중상류층과 기업 포상관광 등을 중심으로 상반기 3배인 150만 명을 유치해 연간 중국 관광객 200만 명을 달성하겠단 목표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(trigger@yna.co.kr)<br /><br />#유커 #명동 #중국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