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복되는 위기가구 대책…현장 인력 강화 절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앞서 생활고로 숨진 전주의 40대 여성 소식 전해드렸는데요.<br /><br />정부는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단 인명 사고가 나면 대책을 발표하고, 얼마 안 가 또 비슷한 피해가 발생하는 모습이 반복되고 있는 만큼, 꼼꼼하고 제대로 된 대안이 필요해보입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56개월 동안 건강보험료를 못 내고, 공과금과 관리비도 반년 간 밀린, '위기 가구'였던 전주의 40대 여성 A씨.<br /><br />지원이 늦어지는 동안 출생 등록도 못한 네살배기 아이만 둔 채 세상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2015년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, 이런 위기 가구 대상자는 600만 명에 근접했습니다.<br /><br />최대한 더 이상 이런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, 정부도 대책 마련에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<br /><br />위기 가구를 발굴·지원하기 위해서 관계부처 간 협력과 소통을 한층 강화합니다.<br /><br /> "주소 정보가 없어서 대상자를 만나지 못하고 사망한 사건입니다. 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관계기관(위기정보 제공기관)으로부터 다가구 주택의 상세 정보를 받아 지자체에 통보할 예정이라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"<br /><br />또, 다가구 주택의 동·호수 기입을 강화하고, 출생 미등록 아동을 찾기 위해 경찰·지자체와 협력해 조사도 합니다.<br /><br />여기다 추석 전후로 실업·채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도 발굴할 방침이지만, 현장 복지업무 인력 확충 같은 실질적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행정상으로만 이루어지고, 실제로 이러한 일들을 할 수 있는 담당 인력이 굉장히 부족하기 때문에…공공복지 전달 체계에 적정한 인력이 수급이 되지 않으면 이런 동일한 사건은 앞으로도 계속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수원 세 모녀, 서울 창신동 모자에 전주 여성까지, 복지 사각지대에서 꺼져가는 생명이 줄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전주 #생활고 #위기가구 #발굴 #복지부 #탁상공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