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조들 지혜 담긴 고서, 더 쉽게 읽는다…AI 번역기술 개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옛 선조들이 남겨 놓은 책, 고서는 당시 쓰였던 한자로 작성돼 있다 보니 번역을 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승정원일기 같은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될 정도로 방대해 번역에도 엄청난 시간이 걸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고서 번역을 돕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습니다.<br /><br />이호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책 속 한자가 컴퓨터 안으로 들어왔습니다.<br /><br />고서 속 한자를 글자 그대로 인공지능이 인식한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서 그치지 않고 고서 속 문장을 분석합니다.<br /><br />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한문 고서 번역 플랫폼입니다.<br /><br />고서 속에서 추출한 한자어를 가지고 이렇게 한글로 번역을 해줍니다.<br /><br />이 기술을 활용하면 그동안 한글로 번역되지 않은 고서도 번역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까지 한자 인식 정확도는 92%, 번역 정확도는 100점 만점에 85점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 "기존에 번역된 고서들에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, 인공지능으로 학습을 해서 새로운 고서가 입력됐을 때 그것을 번역할 수 있는…"<br /><br />그동안 고서 번역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해 왔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원문을 일일이 입력해 글자로 옮기고 확인한 후 여러 차례 한글로 변경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해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필요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면 전문 번역가의 고서 번역 작업 시간과 노동력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<br /><br /> "약 3만권 정도가 현재 조사가 되고 있습니다. 그 많은 책들을 현재 번역을 하려면, 약 100년 이상의 세월이 소요가 되는데, 이번에 이런 기술들을 접목을 시켜서 그런 부분들을 상당히 단축시키고…"<br /><br />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이달부터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, 대전 한밭도서관 등 전국 11개 도서관과 문화원에 키오스크를 설치해 국민 대상 한자인식 및 번역 실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전문 번역가가 아니더라도 한문 고서 번역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모바일웹과 어플리케이션으로도 공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. (jinlee@yna.co.kr)<br /><br />#한문고서 #인공지능번역 #한자를한글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