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이나 방에서 나오지 않는 은둔 청년들이 전국에 25만 명에 육박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 사회의 과도한 경쟁 분위기에 좌절한 청년들이 고립을 택한다는 분석이 나오는데, 청년들에게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게 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차 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34살 A 씨는 28살 때부터 사람을 거의 만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원했던 대학 진학 실패 때부터 찾아온 무력감, 자괴감은 좀처럼 떨쳐 지지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34살(5년 고립 경험) : 좋은 대학을 가서 좋은 회사에 가야만 인생을 정상적으로 살 수 있다. 이런 고정관념이 박혀 살았는데 그거에 실패하다 보니까 그 이후에 의욕도 떨어지고 자신감도 떨어지고.] <br /> <br />타인과 의미 있는 교류 없이 고립된 청년이 51만여 명, 집에서 나오지 않는 은둔 청년도 24만7천 명이나 됩니다. <br /> <br />계기는 여러 가지지만 가장 큰 원인은 실직과 취업난입니다. <br /> <br />고립·은둔 청년의 65%가 원했던 시기에 취업을 못 했으며 <br /> <br />절반 이상이 원했던 직장이나 학교에 들어가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고립의 실제 원인은 경제적 어려움보다 오히려 심리적인 문제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영국의 BBC 방송은 최근 한국 젊은이들이 사회의 높은 기대치에 압박받아 스스로 고립의 길을 택한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도 우리 청년들이 사회의 성공 기준이나 가족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자괴감과 수치심 때문에 고립을 자처한다고 진단합니다. <br /> <br />[김영호 / 사단법인 씨즈 고립청년지원팀 팀장 : 과도한 경쟁, 지금 현재 사회에서 인정받는 직업군들이 있잖아요. 모두 다 그것밖에 (다른 건) 못 보고 살아온 거예요. 대기업·중소기업 등에 도전했다가 안 되는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고 그런 측면이 고립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문제 해결을 위해선 자신감이 추락한 청년들 스스로가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게 하는 경험 제공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[김지연 / 은둔 경험 청년 : (일 경험 프로그램을 하면서) 요리 같은 거 손재주가 있는데 그런 걸 터득했어요. 하다 보니까 재미있고 흥미가 생기더라고요. 몰랐던 걸 여기서 해보니까 재미도 있었어요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가족들의 따뜻한 격려와 인정, 다양한 자질과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YTN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차유정 (chayj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93022524683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