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가 잡겠다지만…중동 리스크에 고민 깊은 정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물가에 다시 빨간불에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긴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, 들썩이는 물가 잡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내일(19일)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한국은행도 고심이 깊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재료 가격이 크게 뛰었습니다.<br /><br />한 달 전보다 배추는 20.3%, 대파, 쪽파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 물가 상승률 두 달 연속 3%대. 수입 물가가 석 달 연속 상승하면서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을 더 키우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유류세 인하 연장에 이어 농수산물 할인, 할당관세 도입 등 대책을 쏟아내며 또다시 물가 잡기에 나선 배경인데, 문제는 실효성입니다.<br /><br /> "옛날부터 있었던 정책이죠. 사실 효과가 그렇게 크지 않아요. 실제 우리 물가는 지금 3%대라고 얘기하지만, 미국만큼 5% 나오고 있는 거거든요. 왜냐하면 자가 주거비가 월에 한 2% 정도 뛰었거든요."<br /><br />하지만, 중동 사태에 따른 국제 유가 변수 속에 정부의 정책적 카드에도 한계가 있는 게 현실입니다.<br /><br />60조원 가까운 '세수 펑크'가 예상되는 상황이고, 한전의 누적 적자는 47조원을 돌파해 공공요금 통제도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업계는 원가 절감,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가격 인상 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해주시기를 요청드리며, 각 부처는 현장 점검, 업계 소통 등을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물가 안정 대책을 적기에 신속하게 마련하여…."<br /><br />경기 회복 불확실성을 고려하면 한국은행이 이번에도 금리를 동결할 거라는 전망이 크지만, 고물가와 불안한 유가 흐름이 부담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한은이 동결 기조를 유지하더라도, 추후 인상 가능성을 동시에 시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물가 #한은 #기준금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