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北, 지난해 탈취한 가상화폐 2조 3천억 원 넘어" <br />"핵 개발 프로그램 지원 위해 가상화폐 빼돌려" <br />"’디파이’ 허점 집중 공략해 1조 5천억 확보"<br /><br /> <br />북한이 해킹을 통해 지난해 2조 원 넘는 가상화폐를 훔쳤다는 내용의 유엔 보고서가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돈은 핵무기 개발 자금에 쓰였을 거라고 분석했는데, 북한의 불법 무기 수출 의혹에 대해서는 이번에도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 전문가패널 보고서는 북한이 지난해 탈취한 가상화폐 규모가 17억 달러, 우리 돈으로 2조 3천억 원이 넘는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전년도와 비교하면 3배나 많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커 조직 '라자루스'와 같은 해커집단이 해킹으로 빼돌렸다는 게 패널의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목적은 핵 개발 프로그램 지원. <br /> <br />일부만 현금화돼서 핵무기 개발에 쓰였다고 하더라도 상당한 도움을 줬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[왕선택 / 한평정책연구소 글로벌외교센터장 : (해커가 돈을 벌면) 김정은 국무위원장 통치자금이라는 금고 안으로 일률적으로 들어가는 거죠. 김정은 위원장은 받은 다음에 배분하는 과정에서 당연히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에도 일부는 줄 수 있겠죠.] <br /> <br />북한 해커들은 가상화폐 거래에 쓰이는 탈중앙화 금융거래, 이른바 '디파이' 플랫폼의 허점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탈취한 가상화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1조 5천억 원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가상화폐 해킹과 함께 노동자를 해외로 파견해 핵무기 개발 자금을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북한의 불법 무기 수출 의혹에 대해서는 증거가 줄을 잇고 있지만, 유엔 대북제재위는 이번에도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무기 수출 의혹에 대해 계속 조사하겠다고만 했는데, 수사권이 없다는 태생적인 한계에 더해 북한과 가까운 러시아와 중국의 견제도 받는 거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지난 26일 한·미·일 외교장관이 북·러 무기 거래를 규탄하는 성명을 낸 데 대해 다른 나라 대내외 문제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며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·미·일을 미·일·한으로 지칭하면서 한국에만 별도 기호로 강조한 점이 눈에 띄는데 최 외무상은 무기거래 우려에 대해 근거가 없다고 매도하면서도 따로 해명도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02815151001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