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년 만에 완전히 깨진 '약속'…북한, 군사도발 수위 높일 듯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2018년 남북이 체결한 '9·19 군사합의'는 5년 만에 완전히 파기됐습니다.<br /><br />약속을 깨버린 북한이 앞으로 군사적 도발을 적극 재개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데요.<br /><br />9·19 군사합의의 주요 내용은 무엇이었는지, 북한이 합의를 위반한 사례는 어떤 것들인지 지성림 기자가 되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 9월, 평양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은 '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'를 체결했습니다.<br /><br /> "수십 년 세월 지속되어온 처절하고 비극적인 대결과 적대의 역사를 끝장내기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를 채택하였으며…."<br /><br />5개 조 20개 항으로 구성된 '9·19 군사합의'에는 지상과 해상, 공중 등 모든 공간에서 상대방에 대한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군사분계선 일대 지상과 해상에 설정한 '완충구역'에서의 군사연습 중단과 군사분계선 인근 상공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합의서에는 또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들고, 서해 북방한계선(NLL)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들기 위한 군사적 대책 강구, 남북 교류 활성화를 위한 보장대책, 상호 군사적 신뢰 구축 등의 약속도 명시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은 군사합의 체결 이듬해부터 약속을 어겼습니다.<br /><br />2019년 11월 창린도 해안포 사격을 시작으로 중부전선 감시초소 총격, 해상 완충구역 내 포사격, 동해 NLL 이남으로의 미사일 발사, 소형 무인기 침투 등 의도적으로 남북 간 합의를 위반했습니다.<br /><br /> "현재까지 누적된 위반 행위는 약 3,400여회에 이르고 있다."<br /><br />북한 군부가 "이제부터 9·19 군사합의에 구속되지 않을 것"이라고 선포한 만큼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모험적인 무력 도발에 나서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북한이 핵무기 보유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재래식 무기를 동원한 군사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9·19군사합의 #북한 #합의_파기 #군사도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