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뚜기 "원부자재 가격 부담"…인상 계획 철회 <br />풀무원도 다음 달 요거트 제품 인상 계획 철회 <br />정부, 빵·우유 등 28개 품목 가격 매일 점검 <br />정부, 농심·삼양식품 만나 물가 안정 협조 요청<br /><br /> <br />오뚜기가 다음 달 편의점 제품 가격 인상 계획을 내놓은 데 이어 풀무원 역시 인상 계획을 번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물가 안정 압박에 식품업계가 울며 겨자 먹기로 가격 동결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뚜기는 원재료와 물류비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진 것을 이유로 가격 인상 시점을 조율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부터 편의점에서 파는 케첩과 카레 등 대표 제품 24개의 가격을 최대 18% 올리기로 했다가 하루도 안 돼 철회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민생 안정에 동참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가격 인상 철회는 오뚜기 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풀무원 역시 다음 달부터 편의점에서 파는 요거트 제품 가격을 100원 올린 2,300원에 판매하려다 번복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식품업계가 잇따라 인상 계획을 철회한 건 정부가 빵과 우유, 과자 등 28개 품목 물가를 매일 점검하며 인상 자제를 압박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라면 업계 1위 농심에 이어 삼양식품 등 식품 업체들을 차례로 방문하며 물가 안정에 협조를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, 농심과 삼양식품, 롯데웰푸드, 팔도 등 식품업체들은 제품 가격을 동결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 같은 식품업계 결정이 임시 조치에 불과하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밀 국제 가격은 미국과 러시아 등 주요 수출국이 수확기를 맞아 안정세이지만, 라면 원재료인 감자 전분과 변성 전분 수입 가격은 올해 9월 톤당 1,106달러로 1년 사이 30% 넘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또 유가와 인건비까지 모두 오름세를 보이며 가격 인상은 시간 문제라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기업에 대한 협조를 넘어, 보다 실질적인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황보혜경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이승주 <br />그래픽 : 유영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2821404183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