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가 전 세계 81개국이 참여한 만 15세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최상위권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한 덕에 다른 나라만큼 교육 공백이 크지는 않았다는 분석인데, 수학은 교육 격차가 더 확대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OECD가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전 세계 81개국 가운데 수학 점수 6위, 과학 5위, 읽기 4위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OECD 회원국 점수만 놓고 비교하면 순위가 더 높아져서, 수학과 과학이 일본에 이어 2위였고, 읽기는 3위였습니다. <br /> <br />오차를 감안한 최고·최하 등수를 놓고 봐도 직전 조사보다 모든 영역에서 순위가 높아졌는데 <br /> <br />점수 자체는 역대 2번째로 나빴던 2018년과 거의 비슷하지만, 다른 나라들 점수가 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등수가 올라갔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유행으로 전 세계 공교육이 파행 운영된 가운데서도 우리나라만은 학업 수준이 일정하게 유지됐기 때문이라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[유희승 /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과 기초진로교육과장 : 우수한 원격교육 인프라가 있었고, 거기에 선생님들이나 학생들이 빠르게 적응해서 '교사들의 지원을 받기가 용이했다.'라고 답변한 비율이 높았거든요. 아이들이 그래도 학교와 떨어져 있다고 느끼지 않았던 것 같아요. 다른 나라는 외로움을 느꼈다는 비율이 많이 높거든요.] <br /> <br />성별 비교로 보면 수학은 남학생, 읽기와 과학은 여학생의 점수가 높았고, <br /> <br />2018년 대비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올랐지만, 남학생의 읽기 점수만은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수학은 상위권과 하위권 편차가 확대됐고 학교 간 그리고 학생 간 편차도 OECD 평균보다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같은 학교에서 학생 간 성취 수준 분포 비율이 OECD는 10년간 5%p 늘어난 반면 우리나라는 30%p 가까이 확대돼, 개인별 수준 격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민경 <br /> <br />그래픽 : 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20521512394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