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류 열풍에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, 뿌리를 잊지 않으려 한국어를 배우는 차세대 동포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호주 한글학교는 다문화 가정을 포함해 학생 규모가 커지고 교육 과정도 한층 더 다양해졌는데요. <br /> <br />윤영철 리포터가 현장을 찾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 전래동화 '흥부와 놀부'를 연극으로 선보입니다. <br /> <br />요즘 가장 뜨거운 K-팝 아이돌의 커버댄스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호주 멜버른 외곽의 한글학교에서 열린 학예회. <br /> <br />주인공은 차세대 동포들입니다. <br /> <br />[박혜나/ 호주 웨이블리 한글학교 학생 : 우리 문화도 배우고 K-팝 춤도 재밌게 배울 수 있어서 (좋았어요). 노래도 부르고요.] <br /> <br />1991년에 문을 연 이 한글학교는 8명이던 학생 수가 2백 명까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다문화 가정 비율도 꾸준히 커져 30%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현지에 동화하기 위한 교육에 집중했던 과거와 달리,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인 뿌리를 지키려는 가정이 많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[바바엘 코스나/ 호주 웨이블리 한글학교 학부모 : 아내의 가족들이 한국에 살기 때문에 아들이 한글학교에 다니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도 경험했으면 합니다.] <br /> <br />[조영애/ 호주 웨이블리 한글학교장 : 다문화 가정이라고 하죠. 그런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는 거예요. 그만큼 외국에서 지금 한류 열풍이 굉장히 크다는 거죠. 그래서 문의도 굉장히 많이 오고요] <br /> <br />빅토리아주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큰 규모를 자랑하는 멜버른 한글학교. <br /> <br />학생 규모는 3백여 명으로, 유아부터 성인반, 고급 한국어 강좌까지 다양한 교육 과정을 운영합니다. <br /> <br />한국어 시험을 치르는 학생들을 위한 이른바 '수능반'까지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호주가 일본, 프랑스 등과 함께 한국어를 대학입학시험 과목으로 채택한 데 따른 겁니다. <br /> <br />주로 현지에서 태어났거나 중학교 입학 전 호주로 건너온 차세대 동포들이 주말마다 한글학교에 나와 대입 시험을 준비합니다. <br /> <br />[김보니/ 호주 멜버른 한글학교 학생 : 처음에는 학교에서 과목 점수를 높이기 위해 (한글학교에) 가긴 했지만, 이제는 한국 문화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고….] <br /> <br />[최명숙/ 호주 멜버른 한글학교장 : 성적 때문에 오는 경우가 많고요. 그다음에 이 과정을 하면서 성적이 문제가 아니라 점차 한국 역사라든가 한국 문화에 대해서 알아가는 그런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호주 내 한글학교는 모두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영철 (jminlee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121708424434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