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은 이틀 연속 이어진 북한의 도발에 즉각적이고도 압도적인 대비 태세를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미사일에 대한 경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등 한미일 공동 대응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권남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윤석열 대통령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, NSC 상임위에 참석해 합참의장의 상황 보고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윤 대통령은 우리 영토와 국민에 대한 북한의 어떤 도발도 즉시, 압도적으로 대응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지난해 한미일 정상이 합의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 체계를 활용하라고 언급했는데, <br /> <br />3국의 핫라인 구축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<br /> <br /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 : 최종 검증 단계에 있습니다. 수일 내에 정상 가동하기 위해서 3국이 긴밀히 협의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윤 대통령은 한미 핵협의그룹, NCG의 과제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국은 내년 6월까지 속전속결로 한미가 한몸처럼 미국 핵우산을 운용하는 '일체형 확장억제'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는데, 그 반발 성격인 이번 북한 도발에도 고삐를 늦추지 말라는 메시지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김태효 / 국가안보실 1차장 (어제) : (한미 양국이) 핵 작전을 같이 집행해나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연습과 실전 교본,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체계, 모든 것이 망라돼 있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미일 안보실장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북한의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 체계를 활용한 한미일 안보 협력을 평가하고, 이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NSC 상임위에선 북한을 향한 규탄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미사일 발사로 막대한 자금을 탕진하며 어려운 민생을 버려둔다, 더 나아가 평양 소수 옹위 세력에만 특권을 허용하는 반인권적 행태를 국제사회에 알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ICBM 도발은 올해 들어 5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고조되는 북핵과 미사일 위협 속에 윤 대통령은 연말연시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대응태세에 만전을 기하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남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김태운 곽영주 <br />영상편집 : 김지연 <br />그래픽 : 박유동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21817561692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