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거에 스며든 첨단 기술…'가짜뉴스' 집중 관리해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총선이 다가올수록 '진실', '공정'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우리나라는 물론, 전세계에서 첨단기술을 활용해 선거에 영향을 주려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어 그만큼 우려가 커집니다.<br /><br />민감한 사안은 최대한 사람의 손으로 다루는게 답일까요?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미 전세계적으로 첨단기술과 선거는 불가분의 관계가 됐습니다.<br /><br />챗 GPT 개발사 오픈AI의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은 다보스 포럼에서 "정치 캠페인에서 챗GPT 사용을 금지하고 AI 생성 이미지에 암호 워터마크를 도입해 투명성을 확보하겠다"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SNS '엑스'를 활용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는 내용의 외신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에는 'X'에 여권 유력 인사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한때 야권 대선 후보로 떠올랐던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를 지지한다는 내용의 딥페이크, 가짜 영상이 올라와 혼란이 일었고,<br /><br />전세계인의 관심을 끌어모은 대만 대선에서는 공정선거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개표를 수작업으로 진행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"기술발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기에 본질적으로 정치와 떼서 생각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"면서 "긍정적이다, 부정적이다 이렇게 이분법적으로 생각할 게 아니라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불법이 확인되면 엄벌하는 게 필요하다"고 설명합니다.<br /><br /> "어떤 IP 어드레스에서 반복적으로 들어오고 그런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글을 게시한다는 건 다 알잖아요. 일부의 어떠한 우려 때문에 어떤 과학적이고 시스템적인 진보를 이제 포기할 수는 없다…."<br /><br />현재 가짜뉴스로 명예를 훼손하거나 언론사를 사칭하는 경우 등에 처벌이 될 수 있지만, 발전하는 기술 속도에 비해 법망은 촘촘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AI #챗GPT #미대선 #총선 #드루킹 #선거 #가짜뉴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