젤렌스키, 결국 총사령관 해임하나…정적 제거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그동안 갈등을 빚어오던 잘루즈니 총사령관을 해임하기로 하고 미국에 사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정적 제거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데요.<br /><br />미국 정부는 주권적 결정 사항이라며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임민형 PD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와 전쟁 중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발레리 잘루즈니 총사령관을 해임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"최근 젤렌스키 대통령이 잘루즈니 총사령관 해임 방침을 미국에 사전 통보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백악관 측은 주권적 결정 사항으로 어떤 입장도 밝히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다만 잘루즈니 총사령관 해임을 공식 발표하지 않았고, 발표 시기도 불투명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젤렌스키 대통령과 잘루즈니 총사령관은 50만 명 규모의 추가 병력 동원 문제를 놓고 대립해왔습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잘루즈니 총사령관이 미국 등 서방과 몰래 휴전을 논의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잘루즈니 총사령관의 지지율이 젤렌스키 대통령보다 높게 나온 것도 두 사람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오는 3월 우크라이나 대선이 예정대로 치러진다면 잘루즈니 총사령관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인 셈입니다.<br /><br />잘루즈니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이후 줄곧 사령관으로 우크라이나군을 진두지휘한 인물로 군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도 인기가 높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젤렌스키 대통령의 총사령관 해임 시도가 오히려 군의 사기 저하 등의 역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잘루즈니 총사령관 후임으로는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지상군 사령관, 키릴로 부다노우 국방부 군사정보국장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민형입니다. (nhm3115@yna.co.kr)<br /><br />#젤렌스키 #잘루즈니 #해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