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항공과 공항 산업계는 코로나19 위기를 딛고 글로벌 경쟁력을 발판 삼아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이 EU와 미국의 승인만을 남겨두면서, 저비용 항공사를 포함한 업계 지각변동이 머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서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한항공이 일본에서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 승인을 받으며 세계 7위의 초대형 항공사로 거듭나기 위한 9부 능선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[대한항공 관계자 : 이번 일본 경쟁 당국의 승인을 기점으로 EU, 미국 경쟁 당국과의 협의에 박차를 가해, 조속한 시일 내에 기업결합 심사 절차를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두 회사의 통합은 산하의 진에어와 에어부산, 에어서울 등 LCC, 즉 저비용항공사 통합 등 항공 산업 재편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아시아나의 화물 부문은 국내 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이 넘겨받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LCC 2위 티웨이항공은 EU의 승인을 받기 위해 대한항공 측이 내놓는 유럽 4개 노선 운수권을 넘겨받아 장거리 노선을 확장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김영일 / 티웨이항공 대외협력팀장 : 대형 항공기를 포함한 항공기를 지속적으로 들여와서 상반기 중 유럽 크로아티아 노선을 국내 LCC 중 최초로 취항할 계획에 있으며, 장기적으로 기타 유럽, 미주 지역까지 장거리 노선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미주 노선에선 중장거리 LCC 에어프레미아가 취항지를 확대하며 아시아나항공을 대체할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중장거리 노선을 놓고 통합 LCC와 티웨이, 에어프레미아 간에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국내 공항도 혁신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인천공항은 2터미널을 확장해 여객 수송 능력을 연간 1억 명 이상으로 키워 세계 3대 인프라 공항으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를 디지털 대전환의 원년으로 삼아 안면인식 출국서비스인 '스마트패스'와 원하는 장소에서 짐을 부치는 '이지드랍' 서비스도 확대합니다. <br /> <br />김포공항은 전용 패스트 트랙을 도입하고, 탑승 대기 중 업무와 회의를 할 수 있는 프리미엄 라운지와 공유 오피스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전은진 / 한국공항공사 항공마케팅부장 : 최근 운수권을 획득한 인도네시아, 몽골, 폴란드 노선이 빠른 시일 내에 운항할 수 있도록 하여, 2024년 김포공항을 포함한 전국 지방공항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21110213997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