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과대학 증원에 대한 반대가 전공의에서 의대 교수로까지 거세게 확산하고 있다. 5일 정부가 전공의 면허 정지 처분에 돌입한 데 이어 이날 40곳 의대가 써낸 증원 규모가 정부 계획(2000명)을 훨씬 웃도는 3401명으로 확인되면서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. 전공의와 전임의가 빠져나간 자리를 지켜온 교수들마저 집단행동에 나설 조짐을 보이면서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. <br /> <br /> 이날 강원대 의대 류세민 학장과 유윤종 의학과장 등 교수 10여명은 의대 증원 신청에 반발하는 삭발 투쟁을 벌였다. 강원대는 현재 49명인 의과대 정원을 140명까지 늘려달라는 신청안을 교육부에 제출했다. 현재 정원 93명을 2배인 186명으로 늘릴 계획인 원광대 역시 의대 학장 등 교수 5명이 보직에서 물러날 뜻을 밝혔다. <br /> <br /> 보직에서 사임한 한 교수는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“학생과 학부모, 교수 의견을 대표해 본부에 입장을 전달했고 교육 환경과 처우 개선 등을 약속받은 뒤 일부 증원에 동의했다. 그런데 본부가 이를 초과해 신청했다”라며 “총장이 등록금 수입을 노리는 것밖에 안 보인다. 증원을 빌미로 수도권 대학 병원이 분원을 개원할 것이고 지역 불균형을 더 심화할 것”이라고 주장했다. <br /> <br /> 배대환 충북대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직의 변을 올렸다. 그는 전공의와 전임의 등을 “환자에게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같이 머리를 맞대야 할 동료”라고 표현하면서 “이런 선생님들의 면허를 정지한다고 하는 보건복지부 발표와 현재 정원의 5.1배를 적어낸 모교의 총장 의견을 듣자니 같이 일하던 동료들이 다시 들어올 길이 요원하다“고 비판했다. 그러면서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33117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