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간호사·문신사까지…의사 집단행동에 기득권 깨지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비대면 진료 허용에 이어 진료보조 간호사 제도화에도 탄력이 붙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문신 시술 등 미용시장 개방 가능성까지 내비쳤습니다.<br /><br />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사들이 집단행동에 나서면서 정부가 의사들의 '기득권' 깨기에 나선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현장 혼란을 막기 위해 지난달 23일 한시적으로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진료보조, PA 간호사 제도화에도 탄력이 붙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건복지부는 지난 7일 한시적으로 응급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이나 응급약물 투여를 할 수 있도록 한 '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 보완 지침'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간호사는 진단서와 수술동의서 초안 작성 뿐만 아니라 중환자 대상 기관 삽관, 뇌척수액 채취 등도 할 수 있어 의사의 진료 독점이 사실상 깨지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전문의 중심의 인력 구조로 바꿔나가는 한편, 숙련된 진료지원 간호사, PA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 근본적인 의료전달체계 개편도 함께 추진해 나가겠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미용시장 개방 가능성마저 내비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의사들이 거의 진출하지 않는 분야지만 현행법상 의사에게만 허용되는 문신 시술을 비의료인에게도 개방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한 겁니다.<br /><br /> "비필수의료쪽으로 많이 몰려서 피부과라든지 그런 쪽에 몰리게 되는 그런 것이 문제제기가 됐을 때 피부미용 부분들이 굳이 의사라는 그런 전문성 높고 교육받은 인력이 다 할 만한 것들이냐 문제제기가 있어 왔거든요."<br /><br />정부의 엄포에도 의사들이 현장으로 돌아오지 않는 가운데, 정부가 의사들의 기득권 깨기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비대면진료 #PA간호사 #문신 #피부미용 #의사 #기득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