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2대 총선을 앞두고 여야의 공약을 검증하는 YTN 연속보도 두 번째 순서입니다. <br /> <br />여야 모두 '철도 지하화 공약'을 내걸며 수도권 표심 공략에 나섰는데, 수십조 원에 달할 재원 마련 방안엔 의구심이 남습니다. <br /> <br />손효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야가 앞다퉈 총선 공약을 발표하던 지난 1월 말,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경기도 수원을 찾아 '철도 지하화' 공약을 꺼내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땅 위에 있던 철도를 지하로 내리고 빈 윗부분을 개발하겠다는 구상인데,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내놓은 공약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 때문에 개발이 더뎠던 지역을 주변부와 함께 '미래형 도시 공간'으로 재창조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1월 31일) : 철도가 정말 지하화되면 어떤 세상이 될까 상상을 해봤거든요. 멋질 것 같아요. 여기에 아기자기한 상가들도 들어오고 사람들이 산책하고 이 주변을 마음대로 오가고….] <br /> <br />바로 이튿날 민주당은 서울 신도림역에서 철도 지하화 공약을 발표하며 맞불을 놨습니다. <br /> <br />철도를 지하로 옮기고 그 부지에 용적률·건폐율 특례를 적용해 주거복합시설을 개발하겠다는 게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GTX, 일반철도 등 도심구간이라면 예외 없이 지하화하겠다며 규모 면에서 여당과 차별화를 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2월 1일) : (지상 철도가) 소음이나 분진 같은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, 도시를 양쪽으로 절단하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. 지상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오히려 경제성이 높은….] <br /> <br />세부적인 부분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철도 때문에 낙후된 구도심을 활성화하겠단 계획은 양당 모두 같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가 이렇게 경쟁적으로 철도 지하화를 약속한 건 결국 지역개발이 곧 표로 이어질 거란 계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개발 이슈로 주변 집값이 오르길 바라는 유권자들의 기대감을 노린 건데, 양당의 지하화 주요 노선은 총선 격전지인 수도권에 집중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돈입니다. <br /> <br />양당 모두 사업비용을 수십조 원으로 추산했는데, 민간 자본 유치로 재원을 조달할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별도 예산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부지를 개발하며 나오는 이익으로 사업비를 충당하겠단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이개호 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(2월 1일) : 80조 원 내외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... (중략)<br /><br />YTN 손효정 (sonhj071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31405285520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