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그날의 아픔을 기억하는 동시에 위로와 공감도 함께 전하는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시회에서 출판, 다큐멘터리까지 세월호 10주기를 기억하는 작품과 전시를 박순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성수대교 붕괴에서 대구 지하철 화재까지 우리 기억 속에 박힌 아픔들이 바다색 캔버스 위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무용가는 세월호 아이들의 이름이 불릴 때마다 절절한 그리움을 몸짓에 담아냅니다. <br /> <br />세월호 합동분향소가 있던 자리에 세워진 미술관은 지난 10년의 아픔을 잊지 않기 위해 전시회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조민화 / 경기도 미술관 학예연구사 :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기억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술을 통해서 함께 위로와 공감을 하고, 앞으로 공동체로서 무엇을 함께 할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해보기 위해 기획하게 되었습니다.] <br /> <br />세월호 유가족과 생존자의 삶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기록집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0년을 어떤 마음으로 견뎌 왔는지 [기억]과 [편견] 등의 키워드를 통해 솔직하고 담담하게 풀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종기 / 고 김수진 학생 아버지 (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) : 저희가 살아온 10년의 삶을 거짓으로 쓸 수는 없잖아요. 미화되고 그러진 않았으면 좋겠다.] <br /> <br />세월호 참사로 딸을 잃고 거리로 나섰던 아버지는 지난 10년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똑같은 아픔을 겪은 유가족들이 만나고 손을 잡으면서 함께 견뎌온 세월은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황명애 / 고 한상임 씨 어머니 (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 대책위원회) : 내 아이는 왜 죽임을 당했는지에 대해서 알아야 심리적 안정이 오는데, 그런 것들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오는 문제를 풀기 위해서도 저희 유족들은 연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.] <br /> <br />한 출판사는 세월호 유가족의 구술 기록이 담긴 전자책을 무료로 빌려주는 행사를 열고 있고, <br /> <br />10년 동안 언론에 보도된 사진을 모은 전시회도 시민들의 발걸음도 붙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심하고 야속하게 지나간 세월호 10년, 살아남은 사람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아이들과 시대의 아픔을 기억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순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취재:정태우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순표 (s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41603241276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