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정부는 이스라엘의 이란 본토 공격에 관여하지 않았고 긴장 완화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확전을 막기 위해 어느 한쪽 편을 들지 않으면서 최대한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권준기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스라엘과 이란 정부 모두 아무런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백악관도 이번 공격에 대해 '노코멘트'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카린 장-피에르 / 백악관 대변인 : 모두 궁금해하는 걸 알지만 지금으로써는 관련 보도(이스라엘 공격)에 대해 언급할 게 없다는 말씀만 드릴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G7 외교장관 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연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도 극도로 말을 아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공격에 미국은 관여하지 않았다며 긴장 완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[토니 블링컨 / 미국 국무장관 : 미국은 어떠한 공격 작전에도 관여하지 않았습니다. 우리의 성명과 대화에 반영된 것은 어떠한 잠재적 충돌로부터 긴장 완화를 위한 노력입니다.] <br /> <br />G7 회의에 참석한 이탈리아 외무장관은 미국이 이스라엘로부터 미리 공격 정보를 받았다는 사실을 말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이 마지막 순간에 드론 공격에 대한 정보를 미국에 알렸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ABC 방송은 고위 관리 말을 인용해 이스라엘이 드론이 아닌 전투기로 미사일 3발을 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타깃은 핵시설 보호를 위한 방공 레이더 기지였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언론들은 대체로 이번 공격이 수위조절이 된 명분용 반격이었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포스트는 이스라엘이 이란 내부를 타격할 능력을 보여주되 긴장 고조는 피하기 위해 제한적인 공격을 가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도 공격 이후 이란과 이스라엘의 반응이 절제돼 있고 양국 언론도 기사를 키우지 않는 점에 주목하며 긴장 완화를 바란다는 신호라고 썼습니다. <br /> <br />CNN 등은 이스라엘과 이란 양측 모두에서 더 이상의 직접적인 무력 공격은 없을 거라는 미국 정보 당국자의 말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기 (j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42022535442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