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15일 김일성 생일을 맞은 북한이 기존의 '태양절'이라는 표현을 거의 쓰지 않아 그 배경이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민족과 통일을 부정하는 '2국가론'을 주장하는 가운데 김 위원장의 우상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대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5일 북한 김일성 주석의 생일을 앞두고 열린 야회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와 달리 조형물에 태양절이라는 글자가 사라지고 4·15라고만 적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의 '태양절'이라는 표현은 노동신문 기사 단 한 곳에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'4·15'나 '4월 명절' 등의 용어가 쓰였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김일성 사망 3년이 지난 1997년부터 김일성 생일을 '태양절'로 불러왔는데 올해 2월부터 이 용어를 쓰지 않더니 당일에도 사용을 최소화한 겁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김일성 생일의 공식 명칭이 태양절에서 '4·15'로 잠정적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'태양절'이라는 표현을 의도적으로 대체하거나 삭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을 가리키는 '광명성절' 역시 북한 매체에서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2019년 3월 선전일꾼에게 보낸 서한에서 김일성 수령의 혁명 활동과 풍모를 신비화하면 진실을 가리게 된다고도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일성이 강조한 한민족과 통일을 부정하는 '2국가론'을 내세운 상황에서 김일성을 태양에 빗대며 부각하는 데 부담을 느낀 거 아니냐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또 북한 매체에 '주체 조선의 태양 김정은 장군'이라는 표현이 담긴 플래카드가 포착된 데 이어 <br /> <br />노동신문에도 김정은을 주체 조선의 태양으로 지칭한 글이 실려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뛰어넘는 김정은 우상화를 위한 조치라는 해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민족과 통일은 김일성 사상의 핵심인데 이걸 지우는 상황에서 김일성을 부각하는 게 부담이 될 수 있고요. 대북 제재, 민심 이반, 이데올로기적인 위기 속에서 오히려 그런 불안감이 김정은의 우상화를 더 가속화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.] <br /> <br />이와 함께 김정은 위원장은 2년 연속, 간부들은 김정은 집권 이후 처음으로 김일성 생일에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이 같은 해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선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대근 (kimdaegeu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42105084486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