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무원 실명지우기에 책임성 우려…새로운 소통 나선 광명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기 김포시에서 악성 민원에 시달리던 공무원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죠.<br /><br />이를 막기 위해서 조직도에서 공무원들의 이름을 지우는 지자체가 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일각에선 책임행정이 시들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자체의 노력도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승택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여성이 주민센터 안에서 경찰을 향해 소리를 지릅니다.<br /><br /> "저 직원이 일을 똑바로 안 하찮아."<br /><br />경찰까지 위협합니다.<br /><br /> "저 직원이 서류도 제대로 안 보고, 신분 확인도 제대로 안 하고 지금 뭐 하는 거예요. 뭐 하는 거예요."<br /><br />경찰의 제지에 따르지 않자 현행범으로 체포합니다.<br /><br /> "현 시간부로 공무집행방해로 현행범 체포하겠습니다. 변호사 선임할 수 있고…."<br /><br />이는 실제 사건을 광명시가 연출한 '악성민원 모의훈련' 영상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이른바 '좌표찍기'로 악성민원에 시달리던 김포시 공무원이 숨진 후 지자체들이 특단의 조치를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포시는 물론 광명시, 인천 서구, 대전시, 충북 충주시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담당 공무원의 개인정보를 비공개로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각에서는 주민과의 소통 부족, 행정의 책임성을 가릴 우려를 제기합니다.<br /><br /> "책임자의 이름을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인지 본질적으로. 다른 차원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."<br /><br />이같은 우려 속에 광명시가 도입한 '소통관님 함께해요' 제도가 눈길을 끕니다.<br /><br />일방적이고 반복적인 민원에 대한 중재·완충 역할과 함께 기존의 직원 심리상담센터를 확대 개편한 겁니다.<br /><br /> "함께해요 소통관제도는 회복 탄력성이 조금 약한 MZ세대, 신입 직원들을 도와주기 위한 제도로 운영을 하고 있고요. 조금 더 자신감 있게 신입 직원들이 민원인과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통방법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악성 민원에 대응하기 위한 지자체의 시도들이 효과를 낼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승택입니다. (taxi226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 기자 이태주]<br /><br />#광명시 #악성민원 #소통관제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