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산재 1위' 배달 노동자…"과도한 속도 경쟁 막아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로 위 배달 노동자들의 사망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에서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사업장은 배달 플랫폼 기업으로 나타났는데요.<br /><br />아찔한 주행을 이어가고 있는 배달 기사들의 실태를 방준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낮 서울 강남의 한 교차로.<br /><br />배달 오토바이 한 대가 정지선을 한참 넘어서 있다가 신호가 바뀌자마자 튀어 나가고, 잠시 멈춘 사이 휴대전화를 확인하는 배달 기사도 보입니다.<br /><br /> "내가 하나라도 더 타야지 돈을 벌잖아요. 천천히 그냥 다니면 타는 의미가 없어요. 배달 자체가 시간 싸움이니까…."<br /><br />치열한 속도 경쟁 속에 배달 기사 사고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에만 4명의 배달노동자가 도로 위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산업 재해 승인 건수가 가장 많은 기업은 배달 플랫폼 기업으로 나타났습니다. 2위 기업의 2배를 훌쩍 넘겼습니다.<br /><br />배달노동에 대한 첫 위험성 평가 결과를 보면, 배달 앱 알고리즘도 중대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.<br /><br />운전 중 앱 화면을 보거나 조작하게끔 하고 폭우나 폭설 등 위험한 상황 때 수수료를 더 주는 문제 등입니다.<br /><br /> "주행 중에 다음 콜을 받아야 하는데 하다 보면 계속 가다가 들어오고…최근에는 2시간에 9건을 하면 2만원을 더 준다 이런 미션이 있기 때문에 시간에 쫓겨서 하다 보면…."<br /><br />배달 노동자들은 과도한 속도 경쟁에 노출되지 않아도 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라이더들의 운임료는 10년 넘게 제자리걸음입니다. 운임료가 낮으니 라이더들이 속도 경쟁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있는 거고요. 적정 (운임료) 수준을 정해서 법으로 지키는 제도를…."<br /><br />배달 대행업체에 산업안전보건법 준수 의무를 부여하는 등 법적 규제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. (bang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김봉근]<br /><br />#배달_노동자 #산업재해 #노동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