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확대가 '기후변화 부채질?'…대응 정책 현주소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AI가 일상 속으로 파고들수록 전력 소비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서도 에너지 전환과 탄소 중립을 이루기 위해선 실질적인 정책과 입법도 뒷받침돼야 할 텐데요.<br /><br />현황은 어떤지 최지원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서두르지 않으면 AI 서비스 확대는 화석연료 발전의 수명 연장으로 이어져 기후변화 대응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생성형 AI 서비스를 뒷받침하는 데이터센터 내부의 열을 식히기 위해선 냉각수가 더 필요한데, 물 확보 문제도 각국에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가뜩이나 전 세계적인 기후 이상으로 가뭄이 길어져 담수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이 늘어나는 현실입니다.<br /><br />AI 서비스 확대가 기후변화 대응에 발목을 잡고 생태계도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규제하려는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럽연합(EU)은 오는 9월부터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및 물 사용과 관련한 규제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EU 권역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경우 에너지 소비량과 이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상세히 보고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의 새로운 변수인 AI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'에너지 전환'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리고, 송배전망을 효율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정교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기상 상황에 따른 발전량 변동성이 있는 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원전 정책도 필요하다는 주문 역시 나옵니다.<br /><br /> "탄소중립과 AI혁명을 우리나라에서 성공하려면 원전은 좀 불가피해 보입니다. 이를 위해 고준위방사성 폐기물 특별법과 부족한 송배전망을 확충하기 위한 송전망 확충 특별법의 처리가 매우 시급한 실정입니다."<br /><br />지난달 유관기관들이 공동 주최한 콘퍼런스에서도 AI연구에 필요한 에너지 믹스를 본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는데, 그만큼 준비가 부실한 현주소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이 AI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현황, 즉 탄소발자국을 정확히 계산해서 내놓게 하는 법안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에서 탄소중립과 AI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쥘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원입니다. (jiwoner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: 장준환]<br /><br />#AI #전력 #탄소중립 #원전 #신재생에너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