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해 왔다고 일본 정부가 밝혔습니다, <br /> <br />발사 시점은 오늘부터 다음 달 4일 사이인데, 발사가 임박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문경 기자! <br /> <br />북한이 위성 발사를 통보했다면 발사가 임박했다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그렇습니다. 북한이 일본 해상보안청에 전한 내용을 보면 발사 시점은 오늘 새벽 0시부터 다음 달 4일 0시 사이입니다. <br /> <br />위성 잔해물의 예상 낙하지점은 한반도 남서쪽 서해 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 등 3곳으로 명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에도 같은 지점을 낙하 장소로 지목했던 점으로 미뤄 이번 정찰위성도 이 경로를 따라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전북 군산 앞 서해 먼바다 지점에 1단 엔진이, 제주도 서쪽 먼 해상에 위성 덮개(페어링)가, 필리핀 루손 동방 해상 지점에 2단 엔진이 낙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발사 시점인데요, 지난해 11월 발사 때는 발사 시점 예고를 한 시기보다 약 1시간 18분 이른 11월 21일 밤 10시 42분쯤 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발사 기간을 통보한 뒤 예고기간 첫날 새벽에 발사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기상 조건만 맞으면 오늘이든 내일이든 언제든지 주·야간을 가리지 않고 발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은 앞서 지난 24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준비로 추정되는 정황들이 식별되고 있다며 발사가 임박했음을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도 관련 동향을 면밀히 추적하고 있는데 발사 시점을 특정할 수는 없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북한은 지난해 11월 군사 정찰 위성 1호기를 궤도에 올린 뒤 올해 3기를 더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1기를 쏘아 올린 뒤 거의 6개월 만에 재발사에 나선 점으로 미뤄 위성기술이 얼마나 향상됐을지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러시아 기술진이 대거 북한에 입국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는데, 북러 군사협력이 강화되는 시점에 위성까지 쏘아 올리면서 지난해보다 성능이 향상된 위성을 탑재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오늘 열리는 한일중 정상회의 직전에 위성 발사를 통보한 의도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북한 비핵화를 둘러싼 한일중 협력에 균열을 내기 위한 차원에서 위성 발사 시기를 특정했다는 정치적 노림수가 있었을 거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김문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문경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52709552663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