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중 정상이 한자리에 모인 오늘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발사 시점은 오늘부터 다음 달 4일 사이인데, 발사가 임박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대근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통일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이 위성 발사를 통보했다면 발사가 임박했다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북한이 일본 해상보안청에 통보한 내용을 보면 발사 시점은 오늘 새벽 0시부터 다음 달 4일 0시 사이입니다. <br /> <br />위성 잔해물의 예상 낙하지점은 한반도 남서쪽 서해 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 등 3곳으로 명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에도 같은 지점을 낙하 장소로 지목했던 점으로 미뤄 볼 때 이번 정찰위성도 이 경로를 따라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발사 시점인데요, 지난해 11월 발사 때는 발사 예고 시점보다 약 1시간 18분 이른 11월 21일 밤 10시 42분쯤에 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발사 예고기간 첫날 새벽에 발사한 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기상 조건만 맞으면 언제든지 주·야간을 가리지 않고 발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위성 기술이 얼마나 향상됐는지도 관심이죠. <br /> <br />최근에는 러시아 기술진이 대거 북한에 입국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는데, 북러 군사협력이 강화되는 시점에 위성까지 쏘아 올리면서 지난해보다 성능이 향상된 위성을 탑재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오늘 한일중 정상회의 직전에 위성 발사를 통보한 의도에도 관심이 쏠리는데요. <br /> <br />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북한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예상됐던 상황에서 북한 비핵화를 둘러싼 한일중 협력에 균열을 내기 위해 위성 발사 시기를 특정했을 거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오경섭 / 통일연구원 기획조정실장 : 북한 비핵화 문제에서 한일과 중국의 협력이 이뤄지지 않도록 방해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있다고 봐야죠. 북한 비핵화 문제에 한국과 일본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도록 저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고 봐야겠죠.] <br /> <br />북한이 위성 발사를 예고하자 우리 군도 대응 훈련에도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전방 중부지역 NFL, 비행금지선 이남에서 공군 F-35A, F-15K, KF-16 등 전투기 20여 대가 참가한 가운데 오후 1시쯤부터 공격편대군 비행훈련 및 타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합참은 이번 훈련은 적 도발 시 즉각, 강력히, 끝까지 응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대근 (kimdaegeu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52715590492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