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北 위성 발사 실패, 엔진 연소 계통 문제 추정" <br />"발사 정황 미리 포착…한미일 정보 공유 가동" <br />北, 실패 인정…새 엔진 개발 등 원인으로 지목<br /><br /> <br />북한이 어젯밤 군사 정찰 위성을 발사하는 과정에서 신형 로켓 1단이 폭발한 것과 관련해 우리 군은 연소 계통에 문제가 생겼을 거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이번 실패에 그치지 않고 북한이 언제든 추가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,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김대겸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정치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 군이 북한의 위성 발사 실패와 관련해 연소계통 문제를 지목했는 무슨 이유 때문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군 관계자는 북한이 어젯밤 감행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원인을 엔진 연소 계통의 문제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상 로켓이 1단체나 비행 중 폭발하는 경우 연료 계통, 즉 엔진의 연소 불량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며 이같이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군은 북한의 발사 준비 정황을 미리 인지해 한미일 정보 공유 체계를 실시간 가동하고, 발사 2분 만에 수십 km 떨어진 지점에서 폭발과 다수의 파편이 발생하는 것을 포착했다고도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역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사 실패를 인정했는데요. <br /> <br />실패 원인으로 새로 개발한 엔진, 즉 산화제로 액체 산소를 쓰고 연료로는 석유의 한 종류인 케로신을 사용한 점을 지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쓰던 기존 엔진 대신, 주로 위성 운반 로켓에 사용되는 엔진 기술 도입을 주장하면서 과학적 목적의 위성 발사였음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북한 주장대로라면, 러시아의 기술 이전 가능성이 크게 점쳐지는 대목인데 이와 관련해 군 관계자는 모든 단계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봐야 한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즉 아직 지원 여부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, 기술적 조언이나 부품 제공을 넘어 엔진의 직도입 가능성까지도 완전히 배제하진 않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군 관계자는 또, 북한이 새 엔진을 활용한 위성 발사를 주장하고 있지만 새 엔진 역시 탄도미사일 발사 기술을 적용한 거기 때문에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해 북한은 위성 발사에 실패한 뒤에도 곧바로 발사체를 다시 쏘아 올렸는데요. 우리 군은 재발사 가능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재발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대겸 (kimdk102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52816014502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