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인권 상황을 의제로 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우리나라 주재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일 등 대다수 이사국이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이 북한 인권 상황을 악화했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엔 안보리의 이른바 '절차투표'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인권을 의제로 안보리 회의를 열려는데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하자 표결로 결정하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9개국 이상 찬성 요건은 쉽게 충족됐습니다. <br /> <br />[황준국 / 주유엔대사·안보리 순회의장 : 찬성 12표, 반대 2표, 기권 1표로 (북한 인권) 의제가 채택됐습니다.] <br /> <br />이렇게 성사된 유엔 안보리 '북한 인권 회의'는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과 인권 악화 상황을 강도 높게 규탄하는 자리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의장국 대표로서 회의를 주재한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북핵과 인권침해를 쌍두마차에 비유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황준국 / 주유엔대사·안보리 순회의장 : 북한은 핵무기와 인권침해로 달리는 쌍두마차와 같습니다. 인권침해가 멈춘다면 핵무기 개발도 멈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도 북한이 주민 복지에 써야 할 자원을 무기 개발에 쓰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[린다 토머스-그린필드 / 주유엔 미국대사 : (북한) 주민의 복지보다 무기(개발)를 선택하는 정권을 비판하는 것은 안보리 회원으로서 책무입니다.] <br /> <br />북한 인권 안보리 회의에 앞서 한미일 등 57개국과 유럽연합은 약식 회견을 열고 북한의 인권 상황 악화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안보리 북한 인권 회의는 10개월 만에 마련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개최됐지만 이후 한동안 열리지 않다가 지난해 8월, 6년 만에 재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보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김민경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선 (bosu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61306541490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