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의 방북을 앞두고 북한과 러시아가 친선과 협조의 의미를 강조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노동신문에는 북한의 대대적인 환영사와 함께 푸틴 대통령의 기고 글이 실렸고, 우리 정부는 면밀히 주시한 뒤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용성 기자! <br /> <br />오늘 자 노동신문 1면에 북러 간 어떤 내용이 담겼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북한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두고, 북한과 러시아의 선린우호 관계를 '새로운 높은 관계'로 발전시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동신문 사설로, '러시아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동지를 열렬히 환영한다'라는 제목 아래 이같이 밝혔는데요, <br /> <br />북한은 러시아와의 뿌리 깊은 친선과 협조 관계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북러가 자주와 국제적 정의,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준엄한 투쟁의 한 전호에 서 있다며, <br /> <br />러시아의 대 우크라이나 '특수군사작전'은 주권적 권리와 국가의 존엄, 발전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정의의 성전이라고 치켜세우고, <br /> <br />미국과 그 추종 세력들의 전쟁 도발 책동에 가공할 핵 억제력으로 맞서나가고 있는 우리 인민의 투쟁에, 러시아가 확고한 지지를 표시하고 있다며 양국 간의 우호 관계를 과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1면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기고 글은 '연대를 이어가는 친선과 협조의 전통'이라는 제목으로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 글에는 북한과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및 상호 결제체계를 발전시키고 일방적인 비합법적 제한조치들을 공동으로 반대해 나갈 것이라고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북한과 협조할 용의가 있다며, 유라시아에서 안전구조 건설, 인도주의적 협조 발전, 과학 활동 활성화 등을 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내용은 북러 정상이 서명할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푸틴 대통령의 방문이 공식화되면서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반응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통령실 관계자는 방북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북러 정상회담에서 나올 메시지와 양국 협력 정도에 따라 대응수위를 결정하겠다는 취지로 읽히는데요, <br /> <br />북러가 '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'에 가까운 수준의 군사 협력을 맺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상황을 관찰 중입니다. <br /> <br />유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용성 (choys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61810185944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