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당국이 지난 5일 무너진 둥팅호 제방을 사흘 만에 다시 잇고 배수 작업에 돌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복구 성과만을 강조하는 관영 매체 보도에 여론은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에서 2번째로 큰 둥팅호 제방 위에 배수 차량이 일렬로 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복구대원들은 펌프와 호스를 연결해 제방 안쪽의 물을 밖으로 뽑아냅니다. <br /> <br />주변 지역의 배수 장비까지 164대가 동원됐지만, 물을 모두 빼내는데 보름 안팎 소요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중국 관영 CCTV 보도 : 침수 면적은 47.76㎢, 약 2억2000만㎥의 물을 배출해야 하는데, 이는 (항저우) 서호 15개의 저수량과 맞먹습니다.] <br /> <br />시진핑 주석의 특별지시 이후 현지 당국은 77시간 만에 끊겼던 제방을 다시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관영 CCTV는 계획보다 복구 속도가 빠르다며 공사 과정을 실시간으로 중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8일 밤, 마지막 돌무더기가 메워지는 순간, 환호성과 함께 승리의 깃발들이 나부꼈습니다. <br /> <br />[중국 CCTV 보도 (지난 8일 생중계) : 지금 이 순간 이렇게 제방에 올라 다시 잇는 데 성공했습니다. 원래 계획보다 열 몇 시간 앞당긴 겁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중국인들은 "비극이 도리어 경사로 바뀌었다"며 싸늘한 반응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붕괴 사고와 부패를 덮으려는 것이냐고 반문하거나 이재민 관련 보도가 없다는 지적도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달에 착륙하고, AI까지 나온 21세기에 저질 재난이 발생했는데 부끄러움도 없다며 꼬집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허난과 산둥성에 폭우피해가 이어지고 있지만, 여전히 당국의 대응 위주의 보도뿐입니다. <br /> <br />재난 현장의 실상 전달이나 책임 규명 없이는 천재지변 속 인재가 반복되기 쉽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yusi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71100392643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